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3

최신 실어증(K-WAB) 검사 평가 도구와 언어장애 평가, 말 명료도 평가 도구인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방법과 평가지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들의 언어능력을 평가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으로써 실어증 검사, 언어장애 평가 도구,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K-WAB 검사지, 파라다이스 웨스턴 실어증 검사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 K-WAB은 Paradise Korean version - the western aphasia Battery라고 합니다.  이 검사의 목적과 검사 방법은 뇌졸중과 같은 뇌손상 즉 신경학적 질환이 발생하여 후천적으로 언어장애가 동반할 경우 실어증이 의심되는 환자에게(언어 검사 후 말하기, 알아듣기, 읽기, 쓰기 등) 언어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 실어증이 있는지, 실어증의 정도, 유형, 그리고 예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실어증(Aphasia) 검사 도구의 구성은 크게 3.. 2023. 4. 11.
BBS(berg's balance scale) 균형 평가지 또는 균형 잡기검사 방법 및 버그 균형 잡기 평가지 양식 BBS(Berg's balance scale) 균형 잡기 검사 또는 균형 잡기 검사, 버그 균형 잡기 평가, 롬 버그 균형 검사, 버그 균형 척도라고도 알려진 이 검사 방법은 총 1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마다 총 4개의 세부 항목이 0점부터 4점까지 있습니다. 대부분 이 버그 균형 검사의 경우 뇌졸중이나 뇌경색, 또는 노인들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균형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래에 첨부한 BBS 균형 평가 양식의 경우 엑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화하였으나 사용에 있어 다소 부정확하거나 수정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는 경우는 댓글을 달아 주시면 참고하여 수정 재 배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방법은 물리치료사가 실시하며, 환자가 안전하게 앉을 수 있는 장소에서 마주 보고.. 2023. 4. 10.
최신 삼킴곤란, 연하장애 평가 양식(CDS, VFSS), Clinical Dysphagia Scale,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 평가표 CDS(Clinical Dysphagia Scale), 일명 삼킴 곤란, 연하곤란 평가 방법과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 VFSS(Videofluroscopic Study) 최신 평가 양식입니다. 엑셀을 이용하여 자동화하였으니 사용해 보시고 불편하거나 수정 보완해야 할 항목이 있는 경우 댓글 달아주시면 최대한 수정 반영하여 재배포하도록 하겠습니다.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연하곤란의 경우는 VFF 비디오 투시 검사는 정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CDS 평가 또한 하여야 합니다. 연하장애 평가 후 재활을 시작하였다면 발병일 기준으로 6개월 이후부터는 연하장애 평가의 객관적인 소견서가 있어야 하며, 연하 재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3개월마다 연하장애 평가 .. 2023. 4. 9.
최신 K-MBI(Korean-bodified barthel index evaluation)검사 방법 및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평가지 최신 K-MBI EVALUATION (Korean-bodified barthel index evaluation)를 한국에 맞는 수정판 바델 지수의 일반적인 사용 지침을 엑셀을 이용하여 자동화하였으며,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고 MBI의 검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평가의 경우(K-MBI) 총 10가지로 구분 1. 개인위생 2. 목욕하기 3. 식사하기 4. 용변 처리 5. 계단 오르기 6. 옷 입기 7. 배변조절 8. 배뇨 조절 9. 보행 9. 휠체어 사용 10. 의자 / 침대 이동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최신 수정 바델 지수 K-MBI 검사 방법 평가항목의 과제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는 1로 분류하고 바델 점.. 2023. 4. 8.
BOS(Base of support)와 COG(Center of gravity)의 차이점, 안정성과 운동성의 차이 BOS와 COG의 차이점을 아시나요?인간의 안정성은 움직임의 자세와 동작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첫째, BOS(Base of support) BOS란 인체나 물체 등이 지면에 접촉되어 있을 때 그 접촉하는 점들의 넓이나 지지하고 있는 물체의 면적을 말합니다. 이것은 면적은 신체의 자세와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앉았을 때와 누워있을 때, 또는 한 발로 서있을 때의 접촉 면적). 이는 BOS의 넓이가 안정성과 움직임에 관련되어 안정성이 높으면 움직임이 줄어들고 안정성이 낮으면 인체의 움직임이 증가하는데 이는 지면과의 접촉이 줄어 더 많은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둘째, COG(Center of grav.. 2023. 4. 7.
임산부를 위한 임신중 먹어야하는 음식 종류 과일 식품 1. 토마토 : 혈액을 맑게 하며, 혈관을 튼튼하게 해 태아 발육에 꼭 필요한 식품2. 포도 : 소변을 보는데 어려움을 다소 해소3. 귤 : 비타민 풍부4. 사과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채소류 식품 1. 시금치 : 비타민E, 엽산이 풍부하여 유산 방지(기형아 예방에 좋으며 시금치, 상추, 부추 또한 엽산이 풍부)2. 완두콩 : 단백질이 많아 뇌 생성에 좋음(해독작용, 부종 완화)3. 감자4. 고구마5. 당근 : 면역성을 높여주는 효과6. 연근 : 철 성분이 많고 자궁 출혈을 예방7. 가지 : 태아가 마시기도 하는 양수를 맑고 건강하게 해 준다. 기타 식품 1. 소고기(지방 제외)2. 생선3. 달걀(노른자)4. 우유 : 단백질과 칼슘 풍부 하.. 2023.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