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지식22

12 뇌신경 쉽게 외우는 암기 방법 및 기능과 뇌신경 검사방법 12 뇌신경을 쉽게 외우는 암기 방법과 꼭 알아야 할 뇌신경 기능 검사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이 12 뇌신경(CNS)의 운동은 저작, 연하, 발성, 표정이며, 감각은 통각, 온각, 촉각, 압각, 지각, 고유감각을 지닌 부교감신경인 혼합신경입니다. 아래에 12 뇌신경의 특징과 검사방법 그리고 숙지하셔야 하는 내용만 정리한 것이니 꼭 알아 두시기를 바랍니다.  12 뇌신경의 특징과 기능, 그리고 검사방법 1. Olfectory Nerve (후각신경)- 후각에 관여함.- ⓔ 후각 검사. 검사방법 : 너무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것은 피하고 환자는 눈을 감고 한쪽 코를 막은 후 냄새(예 : 비누, 커피, 정향)를 맡게 합니다.- 감각신경. 2. Optic Nerve (시각신경) - 시각에 관여함.- ⓔ 시력검사,.. 2023. 5. 2.
견관절, 어깨관절 (Shoulder joint)에 작용하는 근육의 종류와 구조적 명칭 Shoulder joint 견관절 또는 어깨관절이라고 불리는 이 관절에는 작용하는 근육이 총 6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같은 근육이지만 다르게 쓰이기도 합니다. 이 특별한 쓰임새에는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데 두 관절(Two joint muscle)이 사용되기도 하고 Long head 부분이나 Posterior, Anterior 부위에 따라 다르게 쓰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다른 작용에 대한 부분은 꼭 숙지하시고 견관절 (Shoulder joint)에 작용하는 근육의 종류와 명칭 그리고 구조적인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견관절, 어깨관절 (Shoulder joint)에 작용하는 근육과 특징 "> A. Flexion 굴곡 (4)Deltoid(anterior) 삼각근 .. 2023. 4. 30.
인간의 관절(Joint) 종류와 기능, 관절 형태, 그리고 관절의 특징적 차이점에 대해 관절이란 골격계의 뼈 사이를 연결하는 지점에서 발생하게 되며, 인간의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게 됩니다. 각각의 관절은 유형과 특성,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그 기능과 구조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런 인체의 관절 종류와 차이점 그리고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표를 보기에 앞서 관절의 6가지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접번관절 (경첩관절, ginglymus joint)2. 평면관절 (활주관절, gliding joint)3. 차축관절 (중쇠관절, trochoid joint)4. 구상관절 (절구관절, ball and socket, spheroidal joint)5. 과상관절 (타원관절, condyloid joint)6. 안상관절 (안장관절, saddle joint) " d.. 2023. 4. 19.
감각검사(Sensory test), 감각 평가 도구 및 평가 방법과 엑셀 평가지 양식 Sensory test, Sensory testing, Sensory scale, 감각검사, 감각 평가등으로 말하기도 하는 이 검사는 감각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실시하게 됩니다. 보통 검사의 경우 중추신경계 질환인 뇌졸중, 뇌경색, 또는 말초신경계 질환에 의하여 감각 이상이 보이게 되면 실시하게 되는 감각 검사로 대표적으로 표재감각 검사와 심부감각 검사입니다(검사방법과 목록은 아래 표 참고).  "> Sensory test (감각검사 방법과 감각 평가) 감각명칭내용Light touch가벼운 촉각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가볍게 터치Temperature온도감각모든 피부에 차갑고 뜨거운 물체로 터치Sharp pain날카로운 통증뾰족하고 끝이 날카로운 물건으로 누른다Dull pain우리한 통증끝이 무디고 둥근 물.. 2023. 4. 18.
MAS(Modified Ashworth Scale) 근긴장도, 근육경직평가척도 검사 평가지와 평가 도구, 최신 측정 방법 MAS(Modified Ashworh Scale) 은 근육의 경직 평가척도 검사로써 근긴장도를 평가하고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으로 임상에서 인정하는 평가 도구를 엑셀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출력, 보관, 제출할 수 있게 하려고 제작하였습니다.  경직은 뇌졸중, 뇌손상, 뇌성마비, 다발성 경화증, 외상이나 척수손상 등으로 인해 나타나며 이 Ashworth 척도는 경직의 등급을 측정하게 되며, 방법은 수동운동으로 근육의 강직(Spasticity)을 측정하거나 수동으로 이완하여 저항의 정도를 측정합니다.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근육 경직 평가 척도(MASS, Modified Ashworth Scale) Grade특징0근긴장의 증가 없음1관절 가동범위의 끝부분에서.. 2023. 4. 16.
ROM(Range of Motion) 관절 가동 범위 평가 방법과 정상 범위 측정표 평가지 작성 목적 ROM(Range of Motion) 즉 관절 가동 범위라고 하는데 이 검사는 객관적으로 환자의 기능장애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며, 검사 종류는 두 가지로 아래와 같이 나누어지게 되나 이와 반대인 정상적인 관절 가동 범위가 아닌 제한된 관절 가동범위가 나타날 때는 LOM(Limit of Motion)이라고 합니다. 보통 관절 가동 범위 측정, 일명 ROM 측정 방법은 Goniometer라는 인체 각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되며, 보통 물리치료사가 평가하게 되는데 대부분 사람마다 관절 가동 범위 값이 똑같지 않아 객관적이지 않지만, 이 측정 평가 도구의 경우 신뢰도가 높은 만큼 참고하여 평가하시면 됩니다.  A. Active ROM Test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검사) A-ROM .. 2023.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