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T(Manual Muscle Testing) 평가 방법 즉 도수 근력 검사(Gravity Test)는 길항근과 보조근의 근력 상태를 측정하여 구분하고, 중력과 저항에 대항하여 수축하는 근육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검사는 근력의 정도와 범위를 확인하고 판정하는 목적을 가지고 신경계 질환을 앓는 사람의 예후와 치료환경, 효과에 대한 판정으로 사용하여 근 재교육과 수술 여부, 그리고 치료적인 수단에 대한 자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첨부된 MMT(Manual Muscle Testing Grading Scale) 평가 양식은 많이 사용해 왔던 MMT Test 검사지(한컴 또는 PDF 파일로 제작된)를 프린트 출력해 일일이 수기로 작성하여 보관 또는 제출하던 방식에서 엑셀을 이용하여 더욱 간편한 평가와 보관이 쉽고 심평원 또는 추가 보완 자료를 요구하는 이에게 쉽게 출력하여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려고 제작되었습니다.
엑셀로 제작한 MMT 평가 기준표 예시
Grading | 점수 | Definition |
N/T | 없음 | 테스트 하지 않음 |
Normal | 11 | 중력을 이기고 최대 저항에 대해 Full ROM |
Good(+) | 10 | 중력을 이기고 중간 저항에 대해 Full ROM |
Good | 9 | 중력을 이기고 적당한 저항에 대해 Full ROM |
Good(-) | 8 | 중력을 이기고 중간 정도의 저항에 대해 Full ROM |
Fair(+) | 7 | 중력을 이기고 최소한의 저항에 대해 Full ROM |
Fair | 6 | 중력을 이기고 수동적 저항 없이 Full ROM |
Fair(-) | 5 | 중력을 이기고 저항 없이 ROM의 절반 이상 수행 가능 |
Poor(+) | 4 | 중력을 이기고 저항 없이 절반 이하 수행 가능 |
Poor | 3 | 중력 없이 Full ROM |
Poor(-) | 2 | 중력 없이 Full ROM 수행하지 못함 |
Trace | 1 | 근육의 수축은 일어나지만, 관절 움직임이 없음 |
Zero | 0 |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음 |
환자의 도수 근력 검사를 실시할 경우 자세는 환자가 피로를 많이 느끼지 않게 자세를 자주 변경하지 않는 자세를 미리 생각하고 검사를 하셔야 하며, 엑셀로 제작된 이 기록지는 일반 기록지처럼 출력해 수기 기록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미리 메모지를 준비해서 자신만의 약어로 표기한 뒤, 일괄적으로 검사 기록 내용을 체크해 두셨다가 엑셀 양식에 기재하는 방식입니다.
중요한 것은 검사 시 환자가 정확한 자세 즉 관절이 고정된 상태에서 검사하여야 보상작용(대상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니 꼭 주의하셔야 합니다(3세 미만의 유아는 검사 제한, 움직이는 동작으로만 단계를 설정함).
또한 처음 검사 시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다면, 앉아서 검사할 수 있는 모든 검사를 실시하고 그 후 supine, sideling 등의 자세로 바꾸어 검사해야 검사 대상자의 피로도가 낮으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의료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Modified Ashworth Scale) 근긴장도, 근육경직평가척도 검사 평가지와 평가 도구, 최신 측정 방법 (0) | 2023.04.16 |
---|---|
ROM(Range of Motion) 관절 가동 범위 평가 방법과 정상 범위 측정표 평가지 작성 목적 (0) | 2023.04.15 |
UMN(CNS)증후군과 LMN(PNS)증후군의 차이와 Spasticity(경직)과 Rigidity(강직)의 차이점 (0) | 2023.04.13 |
하지를 지배하는 신경과 근육을 쉽게 외우는 방법, Lumbosacral Plexus (0) | 2023.04.13 |
최신 실어증(K-WAB) 검사 평가 도구와 언어장애 평가, 말 명료도 평가 도구인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방법과 평가지 (0) | 2023.04.11 |